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영골(靈骨)과 대백(大白)

교육/전통의학

by 침구학개론 2025. 3. 6. 06:35

본문

반응형

영골(靈骨)과 대백(大白)은 동씨침의 기혈 중 가장 유명하고 대표적인 두 혈자리로 엄지와 두번째 손가락의해부학적 구조 특히 제2 중수골과 연관이 깊습니다. 주로 통증 완화와 순환 개선, 그외 여러 목적으로 다용됩니다.

두 혈자리의 중앙에 있는 합곡의 위치가 손등쪽, 제1 중족골과 제2 중족골 사이, 제2 중족골 중간쯤에 위치합니다.


1. 해부학적 위치

  • 영골(靈骨):
    • 손등에서 제1중수골(엄지손가락 뼈)과 제2중수골(집게손가락 뼈)이 만나는 부위, 특히 근위부(손목에 가까운 부위)의 틈새에 위치
  • 대백(大白):
    • 영골에서 약 1촌 제2중수골 말단요함부에 위치


2. 관련 구조

  • 신경: 요골신경의 표재분지(Superficial Branch of the Radial Nerve): 손등 피부의 감각을 담당하며, 영골과 대백 주변을 지나감. 침 치료 시 신경 자극을 통해 국소적인 진통 효과를 유발할 수 있음.
  • 혈관: 요골동맥의 분지: 말초 혈액순환이 개선될 수 있음.

3. 임상적 기능

  • 영골: 급성 통증 완화: 허리 통증, 좌골신경통, 신체 전반의 급성 통증 완화. 손과 손목의 염좌, 손가락의 부종.
  • 대백: 말초 순환 개선: 손목 및 손가락의 혈류 촉진. 소화기 및 신경계 조절: 복통, 변비 등 내부 장기 문제와도 연관.

 

 
 
 

반응형

관련글 더보기

댓글 영역